LG 구겐하임 어워드
LG그룹과 세계적인 현대 미술관인 구겐하임의 아트 & 테크 파트너십의 대표 프로그램인 LG 구겐하임 어워드(LG Guggenheim Award)는 매년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예술 작품 활동을 통해 현대 예술계의 지평을 확대하는 데 크게 기여한 아티스트를 선정해 트로피와 함께 10만 달러의 상금을 수여하는 국제 예술상입니다. 수상자는 국제적인 위상을 갖춘 뮤지엄 관장, 큐레이터, 학자와 예술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사 위원단이 선발합니다. LG 구겐하임
어워드는 기술과 예술의 결합으로 구현되는 예술가의 열정과 영감 그리고 메시지가 개개인과 사회에 깊은 감동으로 전달되길 기대합니다.
2025년 제3회 LG 구겐하임 어워드 수상자로 김아영 작가가 선정되었습니다.
역대 수상자
- 2024년: 슈 리 칭 (Shu Lea Cheang)
- 2023년: 스테파니 딘킨스 (Stephanie Dinkins)
2025 어워드 수상자
김아영은 영상 기반 기술과 모션 그래픽을 바탕으로 가상과 현실, 과학과 상상이 맞닿는 새로운 세계를 구축해온 아티스트입니다. 실사 촬영, 모션 캡처, 애니메이션, 게임 엔진, 생성형 이미지 기술 등 다양한 미디어를 유기적으로 결합해 완성도 높은 디지털 서사를 만들어냅니다. 퍼포먼스, 조각, 판화 등 전통적인 매체와 가상현실, 실시간 시뮬레이션까지 아우르며 장르의 경계를 유연하게 넘나듭니다.
웹툰의 미학과 GL(Girls’ Love)이라는 서사적 상상에서 출발한 그녀는 직접적인 현장 조사와 리서치를 통해, 사회적 현실과 감성적 내면이 공존하는 몰입형 세계를 구축합니다. 고대 우주론에서부터 알고리즘에 의해 관리되는 현대의 노동자, 이주민들의 삶까지 - 김아영은 시간과 장소, 문화와 정체성을 초월하는 서사를 섬세하게 엮어냅니다. 그녀는 이야기와 세계를 설계하는 데 탁월한 감각을 지닌 동시에, 인공지능과 인간, 기계와 존재 사이의 경계에 대한 깊은 사유를 제안합니다. 입자 과학과 양자 이론, 다중 우주에 대한 관심은 김아영 작가의 작업에 과학적 상상력과 미래적인 정말을 더하며, 예술이 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기술을 언어로, 예술을 질문으로 삼는 김아영은 예술과 기술의 접점에서 인간의 정체성과 미래의 가능성을 끊임없이 탐구하는 아티스트입니다.
대표 작품
심사위원단
"김아영 작가는 전통적인 기법과 첨단 기술을 융합하여 시간과 공간의 경계를 초월한 서사를 통해 동시대의 사회적 질문을 탐색합니다.
그녀는 예술과 기술 사이에 새로운 대화를 이끌며, 예술가의 역할을 연결자(connector)로 확장하고 재정의합니다."
- 심사평 중에서
News
-
예술이 된 기술, 인간을 향하다…뉴욕 수놓은 한국인 'AI 융합아트'
머니투데이, 2025-05-12
-
LG구겐하임상 김아영 작가 "AI 발달로 예술 본질적 변화할 것"
연합뉴스, 2025-05-12
-
AI로 그린 상상 속 미래…뉴욕 아트위크 뒤흔들다
한국경제, 2025-05-08
-
5월 뉴욕 아트위크의 '여왕' 김아영.. "AI와의 동행, 아주 먼 과거에서 시작됐다"
한국경제, 2025-05-09
-
LG 구겐하임 어워드 첫 韓수상자 작품, 뉴욕 타임스스퀘어 걸려
뉴스1, 2025-04-29
-
미국 타임스스퀘어에 'LG 구겐하임 어워드' 수상작 상영
연합뉴스, 2025-04-29
Events & Content
5월 8일,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에서 열린 LG 구겐하임 어워드 수상 축하 세리머니
© 2025 Scott Rudd Events
2025 LG 구겐하임 어워드 수상자 트로피 전달 및 축하
© LG
비디오 아이콘
LG 구겐하임 어워드 제 3회 수상 축하 메시지
어워드 수상 축하 세리머니 현장
© 2025 Scott Rudd Events
비디오 아이콘
뉴욕 타임스스퀘어에 걸린 김아영작가 LG구겐하임 어워드 수상 축하 영상
LG전자 북미법인 허철호VP, 구겐하임 미술관 부관장 나오미 벡위스, ㈜LG 브랜드담당 박설희 수석, 2025 LG 구겐하임 어워드 수상자 김아영, LG전자 북미지역대표 정규황 부사장, LG전자 어소시에이트 큐레이터 노암 시걸, 구겐하임 미술관 글로벌 파트너십 디렉터 로리 카밀레리
© 2025 Scott Rudd Events
트로피
LG 구겐하임 수상자에게 수여되는 트로피는 정보 과학과 컴퓨팅의 기반인 "1" 과 "0" 디지털 신호체계에서 영감을 얻었습니다. 이진법의 구성 요소는 놀랍도록 단순하지만 이것이 증강현실이나 인공지능 같은 경이로운 테크놀로지들을 가능케 했듯이, 이 트로피 디자인은 "1"과 "0" 두 숫자의 형태가 다이나믹하게 교차하는 순간을 조형적으로 포착하여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활용으로 비로소 가능해지는 새로운 형식의 '미래의 예술'을 기대하게 합니다.Initiative
LG 구겐하임 아트 & 테크 파트너십은 예술과 기술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시대와 호흡하며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실현하는 예술가들을 위한 5년간의 글로벌 협력 프로그램입니다. 이번 협력은 서로 다른 영역에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나누고 사회상을 반영하는 중요한 가치를 함께 연구함으로써 예술을 구현하는 새로운 방식을 모색합니다. LG는 구겐하임과의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LG의 최첨단 솔루션과 구겐하임의 탁월한 예술적 감성이 결합된 디지털 크리에이티브의 새로운 장을 열어나갑니다. 이를 통해 기술과 예술의 결합으로 구현되는 예술가의 열정과 영감 그리고 메시지가 개인과 사회에 깊은 감동으로 전달되길 기대합니다.

포브스코리아 - 예술과 기술을 넘나드는 스토리텔러
김아영 작가는 올해 가장 주목받는 미디어 아티스트 중 한 명이다. 지난 3월, 세계적인 미디어 아트 상인 ‘LG 구겐하임 어워드’의 한국인 최초 수상자로 선정되었으며, 2023년에는 세계 최대 미디어 아트 어워드인 ‘프리 아르스 일렉트로니카(Prix Ars Electronica)’에서 최고상인 골든 니카(Golden Nica)를 수상한 바 있다.
영상, 사운드, 텍스트, 퍼포먼스를 결합한 그녀의 작품은 기술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넘어, 현대 사회의 복잡한 사회·정치적 맥락을 예술적 언어로 풀어낸다. 그녀는 19세기 말 거문도 사건, 영국의 경마산업이 국내에 안착하는 과정에서 생긴 비극을 조명하는 등 역사적 사실과 동시대적 이슈를 오가며, 철학적 깊이를 지닌 내러티브를 구축해 왔다.
김아영은 "예술가는 자신의 내면으로 깊이 다이빙해 바닥을 치고, 고통을 감내하며 자기와 싸우는 과정 속에서 탄생하는 언어와 미학에 사람들이 감동하고 공감하게 된다"고 말한다. 이번 수상을 계기로, 그녀는 디지털 기반 예술의 세계적 흐름 속에서 더욱 강한 존재감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술 애호가 김아영
김아영은 최근 LG 구겐하임 어워드와 ACC 퓨처 프라이즈를 연달아 수상하며 세계 미술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한국 작가다. 그녀의 대표작 중 하나인 Delivery Dancer’s Arc: Inverse는 AI, CGI, 게임 엔진 등 최첨단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3채널 영상 설치작으로, 전작 Delivery Dancer’s Sphere에서 처음 등장한 두 여성 배달기사 Ernst Mo와 En Storm(Monster의 재조합)의 이야기를 이어간다. 김아영은 현실과 가상이 교차하는 서울을 무대로 노동과 여가가 뒤섞인 '딜리버리 댄서'들의 이야기를 펼쳐왔으며, 후속작에서는 이들을 미래의 가상 세계 '노바리아'에 재등장시켜, AI가 편집까지 관여하는 방식으로 작품의 형식을 확장시켰다.
일부에서는 이러한 AI 기술들이 인간의 행위의 마지막 보루로 여겨지는 예술적 영역에 대한 침략으로 볼 수도 있지만, 김아영에게는 형식적, 개념적 잠재력을 통합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이다. 그러나 이것이 기술에 대한 무조건적인 수용과 낙관이 아니라는 점은 그녀의 대표작인 Delivery Dancers 시리즈에서 나타나는 ‘긱 이코노미’에 대한 비판적 묘사에서 드러난다. 기술에 대한 이러한 태도는 그녀의 초기작 Zepheth 시리즈에서도 드러나는데, 그녀는 석유 산업과 이주노동이라는 역사적 서사를 컴퓨터 생성 이미지, 3D 모델링 기술, 그리고 그린스크린 비디오를 활용해 새로운 퍼포먼스로 구성한 바 있다.
김아영의 작업은 기술을 단순히 위협으로 보는 논쟁적 시각에서 벗어나, 새로운 세계를 상상하는 도구로 전환시키는 데 주력한다. 현재 그녀의 작품은 베를린의 함부르거 반호프와 브리즈번의 퀸즐랜드 아트갤러리에서 전시 중이며, 오는 11월에는 뉴욕 MoMA PS1에서도 소개될 예정이다.

5월 뉴욕 아트위크의 ‘여왕’ 김아영.. “AI와의 동행, 아주 먼 과거에서 시작됐다”
김아영 작가는 첨단 기술과 예술을 접목해 미래적 상상력을 구현하는 선도적인 미디어 아티스트로, 제3회 LG 구겐하임 어워드에서 한국인 최초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생성형 AI, VR, 모션그래픽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해 현대 사회의 문제와 고대 신화, 역사적 모티프를 연결하며 시공간을 넘나드는 서사를 구축한다. 그의 작업은 여성 배달 노동자나 산업화 시대의 유령 노동자 등 현실에서 출발한 픽션을 영상과 설치로 풀어내며, AI와 실시간 협업을 통행 작품의 방향을 유연하게 확장시키기도 한다. 종로 낙원상가 아파트에서 작업하며 고서와 신화에 몰두하는 그는, “미래는 과거에 답이 있다”는 철학 아래 잊힌 기술과 장소를 탐구하고 이를 가장 미래적인 이미지로 재구성한다. 베네치아 비엔날레, 프리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등 국제 무대에서도 주목받고 있으며, 기술을 예술의 언어로 치환해 산업계와 예술계를 동시에 매료시키고 있다.